수십 년간 이어온 건설·레미콘업계 간 레미콘 협정가격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레미콘을 공급받는 건설사로서는 최고가 경쟁 입찰을 통해 좀 더 싼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하지만 도내에만 50개사가 난립하면서 가뜩이나 출혈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도내 중소레미콘 업체들로서는 덤핑납품에 따른 경영난을 우려해 왔다.
건설사 입장에서도 저가납품에 따른 제품의 질 저하도 우려할 수 없는 입장이어서 지난 달 30일 만료된 협상가격의 효력에 대한 지속합의를 놓고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6일 도내 건설사와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작년 1년 기한으로 합의한 레미콘 협상가격의 효력이 6월30일 만료되면서 협정가 부재에 의한 건설사들의 레미콘 경쟁입찰과 이에 대응한 레미콘사들의 공급중단 등 반발에 따른 정면충돌이 우려됐다.
그러나 협상을 지속하겠다는 극적 합의에 이르면서 일단 봉합됐다. 합의를 이끈 1차 동력은 최악의 사태만은 피해야 한다는 양 업계 간 공감대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건설과 레미콘 각각의 업종 내 이견이 한몫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레미콘사들 역시 경쟁 입찰로 가면 다 죽는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특히 협정가격이 사라지면 협정가 파기를 이유로 한 레미콘 사들의 일부 건설사 대상의 공급중단의 명분 자체도 사라진다”고 말했다.
레미콘업계 역시 다르지 않다. 협정가가 사라지면 경쟁 입찰에 따른 저가공급에 내몰려 제살깍아먹기식 출혈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 왔다.
도내 레미콘업체 관계자는 “가뜩이나 건설경기 하락으로 출혈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돼 결국 업계자체가 도산위기를 겪을 것이다”고 밝혔다.
업체별 셈법은 제각각이지만 협상의 상식은 파트너의 퇴로를 열어주는 것이며, 과도하게 몰아붙이면 사생결단으로 가고 모두 손해 볼 수밖에 없다는 공감대가, 양 업계가 협의를 지속하기로 한 동력이란 분석이다.
레미콘 주문문의 : 1566-1646
문자문의 환영 : 010-3884-2600
'대한콘크리트 > 간행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진그룹, 동양 경영참여로 인수 타진…'레미콘 확대' (0) | 2016.02.09 |
---|---|
[뉴스] 이지더원아파트 불량레미콘 시공 2개층 철거 '파문' (0) | 2016.01.29 |
[대예측2016-건자재 수급전망] 레미콘·철근 늘고 시멘트 수요 하락 (0) | 2016.01.02 |
‘맨손으로 일군 레미콘 업계의 신화’ 문태식 아주그룹 명예회장 1주년 기념식 (0) | 2015.12.29 |
가슴에 새겨야할 인디언들의 명언 8가지 (0) | 2015.10.18 |